생활

2025년 최신 창호 단열 등급 기준 완벽 정리 – 창호 교체 전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

세상만사 궁금쟁이 2025. 4. 16. 18:50
728x90

2025년부터 창호(샷시)의 단열 성능 기준이 더욱 강화됩니다.
정부는 탄소중립 2050 목표 달성을 위해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대폭 개선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바로 창호의 단열 성능 강화가 있습니다.

창호는 외기와 직접 맞닿아 있어 건물 전체 에너지 손실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요소로, 단열 등급에 따라 냉난방비 절감 효과가 극명하게 나타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부터 적용되는 최신 창호 단열 등급 기준, 단열성능 지표, 등급 분류 방식, 실제 제품 선택 시 유의할 점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해드립니다.


사진: Unsplash 의 Sheri Nye

1. 창호 단열 등급이란?

창호 단열 등급이란 창문, 샷시 등의 열 차단 성능을 수치화하여 소비자가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입니다.
단열 등급이 높을수록 열손실이 적어 냉·난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등급은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제도 내에 포함되며, 1등급~7등급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1등급이 가장 단열 성능이 우수한 제품입니다.


2. 2025년 개정 단열 기준 핵심 요약


구분 기존 기준(2024년까지) 2025년 개정 기준
단열 등급 1~5등급 중심 1~7등급 세분화
열관류율 기준 상대적으로 완화 기후대별 차등 적용 강화
고단열 기준 적용범위 일부 신축 리모델링·증축까지 확대
인증제도 에너지소비효율등급 건축물 에너지성능지표(BEPS) 연동

 


사진: Unsplash 의 Federico Beccari

728x90

3. 2025년 창호 단열 등급 기준 – 열관류율(U-value) 기준

창호의 단열 성능은 **열관류율(U-value, W/㎡·K)**로 판단합니다.
이 수치는 창을 통해 열이 얼마나 잘 통과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숫자가 낮을수록 단열 성능이 우수합니다.

2025년부터는 기후대별로 기준이 세분화됩니다.


단열 등급 열관류율 (W/㎡·K) 설명
1등급 0.9 이하 최고단열 / 고효율주택용
2등급 1.0 이하 패시브하우스, 제로에너지주택
3등급 1.2 이하 고단열 아파트, 신축 공동주택
4등급 1.5 이하 일반 리모델링용
5등급 1.8 이하 경제형, 준공공시설 가능
6등급 2.1 이하 상업용, 단기거주용
7등급 2.4 이하 최저 기준 충족

✅ 참고: 서울 등 중부지역은 1.2W/㎡·K 이하로 강화되고, 제주도·남부지역은 1.5~1.8 수준으로 차등 적용됩니다.


사진: Unsplash 의 CHUTTERSNAP

4. 창호 등급에 따른 실제 체감 효과


항목 고단열 창호(1-2등급) 일반 창호(4-5등급) 저단열 창호(6-7등급)
난방비 절감 최대 35% 이상 평균 수준 비효율적
소음 차단 우수 보통 낮음
결로 방지 탁월 보통 결로 발생 가능
쾌적한 실내 유지 매우 우수 평균 외기 영향 큼

5. 창호 등급 확인 방법

  1. 제품에 부착된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 라벨 확인
    → 열관류율(W/㎡·K) 수치도 함께 확인
  2. 한국에너지공단 효율등급 통합 사이트에서 제품 검색
  3. **시공업체 or 브랜드(예: LX, KCC, 이건창호)**에 등급별 사양 요청

사진: Unsplash 의 Joylynn Goh

6. 단열 등급별 추천 적용 환경


환경 권장 단열 등급
패시브하우스 / 제로에너지주택 1등급
수도권, 중부지역 일반주택 2~3등급
남부지역 아파트 / 빌라 3~4등급
단기거주형 오피스텔 / 상가 5~6등급
임대용 / 최소 기준 6~7등급

7. 창호 교체 시 유의할 점

  • 단열등급이 높아도 시공이 부실하면 의미 없음
    → 샷시 틈새, 실리콘 마감, 단열 테이프 처리 중요
  • 유리의 층수(2중/3중)도 성능에 큰 영향
    → 3중유리는 단열성 우수하나 무게·비용 고려 필요
  • 프레임 구조도 성능 좌우
    → PVC, 알루미늄, 복합프레임 등 비교 필수

결론: 2025년부터는 단열 등급을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 창호의 단열 등급은 더 이상 옵션이 아닌 필수 요소입니다.
✔️ 건축 허가, 리모델링, 발코니 확장 심의 등에서도 에너지 성능 기준 충족 여부가 중요해졌습니다.
✔️ 창호 교체나 신규 주택 설계 시, 열관류율 1.2 이하 제품 선택을 추천드립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