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의 의미 완벽 정리 (2020년 이전과 이후 차이까지)

세상만사 궁금쟁이 2025. 4. 14. 22:45
728x90
사진: Unsplash 의 Susan Holt Simpson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부여받는 주민등록번호는 총 13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뒷자리 7자리는 단순한 숫자 배열이 아닌 개인의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의 구성과 의미, 그리고 2020년 개정 이후의 변화까지 상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7자리의 구성

주민등록번호는 아래와 같이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예시: 900101-1234567

  • 앞자리 6자리: 생년월일(YYMMDD)
  • 뒷자리 7자리: 성별, 출생지역, 등록순번, 오류검증번호

이제 뒷자리의 의미를 순서대로 살펴보겠습니다.


1. 7번째 자리: 성별과 출생 세기

뒷자리의 첫 번째 숫자는 성별과 출생 세기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1, 2, 3, 4 등으로 시작합니다.

숫자의미
1 1900~1999년생 남성
2 1900~1999년생 여성
3 2000~2099년생 남성
4 2000~2099년생 여성
5 1900~1999년생 외국인 남성
6 1900~1999년생 외국인 여성
7 2000~2099년생 외국인 남성
8 2000~2099년생 외국인 여성
9, 0 기타 특수한 경우 (재외국민 등)

728x90

2. 8~9번째 자리: 출생 등록 지역 (지역 코드)

이 두 자리는 개인이 출생신고를 한 지역의 행정구역 코드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 00~08: 서울특별시
  • 09~12: 부산광역시
  • 13~15: 인천광역시
  • 16~25: 경기도
  • 26~34: 강원도
  • 35~39: 충청북도
  • 40~47: 충청남도
  • 48~54: 전라북도
  • 55~66: 전라남도
  • 67~70: 경상북도
  • 71~80: 경상남도
  • 81~84: 제주도
  • 85~99: 기타 혹은 외국 출생자

이 숫자를 통해 과거에는 출생 지역을 유추할 수 있었으나, 이는 개인정보 노출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사용이 축소되고 있습니다.


3. 10~11번째 자리: 출생 순번

동일한 생년월일과 지역에서 출생한 사람 중 몇 번째로 신고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번호입니다. 00~99까지 부여되며, 같은 날 같은 지역에서 태어난 사람이 많을 경우 다음 숫자가 부여됩니다.

예를 들어 01이면 해당 날짜와 지역에서 첫 번째 혹은 두 번째로 등록된 사람일 수 있습니다.


4. 12번째 자리: 오류 검증 번호 (Check Digit)

주민등록번호의 마지막 숫자는 일종의 **오류 검증 번호(검증 코드)**입니다. 이는 앞의 12자리 숫자가 유효한지를 수학적 방식으로 확인하는 숫자입니다.

검증 알고리즘에 따라 계산되며, 주민등록번호가 임의로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실제 행정 처리 시스템에서는 이 번호를 통해 유효성을 검증합니다.


사진: Unsplash 의 Anne Nygård

2020년 이후 주민등록번호 개편: 뒷자리 의미 변화

2020년 10월부터 시행된 주민등록법 개정안에 따라, 신규로 발급되는 주민등록번호의 뒷자리 7자리 중 지역 코드, 등록 순번 등은 암호화 방식으로 대체되었습니다. 이는 개인정보 유출 및 도용을 막기 위한 조치입니다.

즉, 기존에는 뒷자리 숫자를 통해 개인의 출생 지역이나 성별 등을 추론할 수 있었지만, 2020년 이후에는 해당 정보가 무작위로 생성되어 유추가 불가능합니다.

다만, 성별을 나타내는 첫 번째 숫자(7번째 자리)는 여전히 동일한 방식으로 유지됩니다. 예를 들어 3은 2000년대 출생 남성, 4는 2000년대 출생 여성 등.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주민등록번호로 출생지역을 알 수 있나요?

2020년 이전에 발급된 번호는 뒷자리의 8~9번째 숫자로 출생 신고 지역을 유추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암호화되어 알 수 없습니다.

Q2. 주민등록번호를 통해 나이를 계산할 수 있나요?

네. 앞자리 6자리와 뒷자리 첫 숫자(성별 코드)를 통해 태어난 연도를 유추할 수 있어, 현재 나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Q3. 주민등록번호는 변경이 가능한가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능하지만, 주민번호 유출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경우에는 정부에 신청하여 변경이 가능합니다. (예: 신분 도용, 스토킹 피해 등)


마무리

주민등록번호의 뒷자리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성별, 출생지, 등록순번, 검증용 숫자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이후 개편으로 보안성이 강화되면서 개인정보 보호가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은 개인정보 보호의 시작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