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MMA = Mixed Martial Arts = 종합격투기
- MMA는 영어로 Mixed Martial Arts의 약자입니다.
직역하면 “혼합된 무술”이라는 뜻으로,
레슬링, 복싱, 주짓수, 무에타이, 유도 등 다양한 무술을 섞어서 싸우는 스포츠입니다. - 한국에서는 이걸 번역해서 종합격투기(綜合格鬪技)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MMA 선수” = “종합격투기 선수”입니다.
예시로 살펴보기
용어 | 의미 | 비고 |
MMA | Mixed Martial Arts | 국제적으로 쓰는 명칭 |
종합격투기 | MMA의 한국어 표현 | 주로 한국, 일본 등에서 사용 |
UFC 선수 | UFC에서 뛰는 MMA 선수 | UFC는 MMA 리그 중 하나 |
ONE 선수 | 아시아 중심의 MMA 리그 선수 |
반응형
🥊 1. MMA 선수 수입의 구성 요소
MMA 선수의 수입은 단순 월급제가 아니라, 다음과 같은 복합적 수익 구조로 이루어집니다:
구분 | 내용 | 수입 범위 |
① 경기 기본 수당 (쇼머니) | 경기에 출전만 해도 지급되는 기본금 | $5,000 ~ $500,000 이상 |
② 승리 보너스 | 이겼을 경우 추가 지급 | 보통 쇼머니와 동일 (2배 수익 구조) |
③ 퍼포먼스 보너스 | ‘최고의 경기’, ‘KO’, ‘서브미션’ 등 선정 시 | UFC 기준 $50,000 |
④ PPV 수익 분배 | 유료 시청권(PPV) 매출에 따른 분배 | 스타 선수는 수백만 달러 |
⑤ 스폰서 수입 | 유니폼, 장비, SNS 광고 등 | 수천 ~ 수십만 달러 |
⑥ 추가 활동 수입 | 해설, 유튜브, 강연, 콘텐츠 출연 등 | 개인 차이 매우 큼 |
💰 2. MMA 선수 연봉/월급 수준
① UFC 선수 기준 수익 (2025년 기준 추정)
선수 수준 | 경기당 수입(쇼머니+보너스) | 연간 경기 수 | 예상 연수입 |
신인 선수 | $10,000 ~ $24,000 | 2 ~ 3회 | 약 3천만 ~ 1억 원 |
중견 선수 | $40,000 ~ $100,000 | 2 ~ 4회 | 약 1억 ~ 5억 원 |
랭커 / 유명 선수 | $200,000 ~ $500,000 | 2 ~ 3회 | 약 5억 ~ 15억 원 |
챔피언급 / PPV 스타 | $1M ~ 수천만 달러 | 1 ~ 2회 | 10억 ~ 100억 원+ |
🔎 예시:
- 코너 맥그리거: 한 경기 수입 $20M 이상 (광고 포함하면 수백억 원)
- 정찬성(코리안좀비): 평균 경기당 약 $200,000 수준 (보너스 포함 시 더 높음)
📊 3. 리그별 수입 차이
리그명 | 특징 | 수입 수준 |
UFC | 최대 규모, 글로벌 시장 | 가장 높음 |
Bellator | 북미 2위 규모 | 중간 수준 (보통 $10,000 ~ $80,000) |
ONE Championship | 아시아 기반, 싱가포르 본사 | 중견 선수 약 $20,000 ~ $100,000 |
ROAD FC (한국) | 국내 리그 | 신인 약 100만 원 ~ 수백만 원 |
RIZIN (일본) | 이벤트형 대회 | 대중성 높은 선수에게 고액 지급 가능 |
🧾 4. MMA 선수 수입의 현실
- 신인 선수의 수입은 낮고 불안정합니다.
- 경기가 없으면 무수입이고, 부상·계약 해지·감량 실패 등으로 돈을 못 벌 가능성도 큽니다.
- 스폰서 수익 제한:
- UFC는 2015년부터 자체 스폰서 계약(리복 → 베누 → 바이오니크)을 맺어,
개별 선수의 외부 광고 노출이 제한됩니다. - 반면, ONE이나 Bellator는 자유도가 좀 더 큼.
- UFC는 2015년부터 자체 스폰서 계약(리복 → 베누 → 바이오니크)을 맺어,
- 미국은 경기 수당에 세금·에이전트 수수료·훈련비 제외 시 순수입 ↓
- 실제 수령 금액은 40~60% 정도일 수도 있음.
📌 요약: MMA 선수 수입 구조
항목 | 설명 |
기본 수입 | 경기당 쇼머니 + 승리 보너스 |
추가 보너스 | 퍼포먼스, PPV 분배, 랭킹·타이틀 전 |
외부 수입 | 스폰서, 광고, 유튜브, 해설 등 |
연봉 수준 | 신인 약 3천만 원 ~ 스타급 수십억 원 |
728x90
💵 5. 🇰🇷 한국 대표 MMA 선수들의 수입 예상
선수 | 주요 활동 리그 | 수입 수준 (얘상 연간 수입) |
비고 |
정찬성 (코리안 좀비) | UFC | 3억 ~ 10억 원+ | UFC 메인급 파이터, PPV 수익 일부 배분, 보너스 수회 수상 |
김동현 (스턴건) | UFC (은퇴), 방송 활동 | 전성기: 5억 ~ 15억 원+ 현재: 방송·해설로 연간 수억 원 추정 |
UFC 메인 카드, 방송 활동 활발 (런닝맨, 유튜브 등) |
최승우 | UFC | 5천만 ~ 1.5억 원 | 페더급, UFC 중간급 파이터 |
박준용 (아이언 터틀) | UFC | 1억 ~ 2억 원 | 미들급, 경기당 약 5~7만 달러 + 승리 보너스 |
정다운 | UFC | 1억 ~ 3억 원 | 라이트헤비급, 비교적 높은 체급이라 페이도 조금 높음 |
함서희 | ONE Championship | 5천만 ~ 1억 원 이상 | 여성 아톰급, ONE 리그에서 상위권 |
이정현 | ROAD FC 등 | 수백만 ~ 수천만 원대 | 국내 대회 중심 활동, 유명세는 있으나 글로벌 계약 X |
윤동식 (전 유도 국가대표) | ROAD FC 등 | 전성기 수억 원대 | 현재는 해설, 지도자 활동 중심 |
💡 정찬성(코리안 좀비) 수익 구조 예시
수익 항목 | 예상 수입 |
UFC 경기 기본 수당 | 약 7만 ~ 10만 달러 (1억 ~ 1억 5천만 원) |
승리 보너스 | +동일 수준 추가 |
퍼포먼스 보너스 (5만 달러) | 수차례 수상 경력 |
PPV 지분 (스타 선수에게만 지급) | 수만 ~ 수십만 달러 가능 |
스폰서/방송/유튜브 | 브랜드 협찬, 팬층 확보로 수입 다변화 |
연간 예상 총 수입 | 약 3억 ~ 10억 원 이상 |
※ 단, 이 수치는 경기 횟수, 결과, 출전 시기에 따라 유동적입니다.
🎙️ 방송 활동과 수입 다변화
- 김동현: UFC 은퇴 후 “런닝맨”, “프리한 닥터”, 유튜브 채널 등으로 방송인 겸 사업가 활동 중
→ 수입은 MMA 활동 때보다 오히려 더 증가했을 가능성 있음 - 정찬성: 최근 유튜브, 해설, 브랜드 협찬 등으로 수익원 확대 중
📉 국내 리그 선수의 현실
- ROAD FC, AFC, TFC 등의 국내 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는:
- 경기당 수당: 100만 ~ 500만 원 수준
- 승리 시 보너스 포함 약 1천만 원 안팎 가능
- 스폰서나 관중 인기가 있어야만 추가 수익 발생
👉 연간 2~3경기만 소화한다면 수입은 연 2천만 ~ 3천만 원 수준
👉 아르바이트, 체육관 코치 등으로 부업 병행 필수
📌 요약
분류 | 대표 선수 | 예상 연 수입 |
UFC 스타급 | 정찬성, 김동현 (전성기) | 수억 ~ 10억 원 이상 |
UFC 중간급 | 박준용, 정다운 | 1억 ~ 3억 원 |
국내 리그 | 이정현, 윤동식 | 수천만 원대 |
여성 선수 | 함서희 | 1억 원 전후 |
🥋 추성훈(아키야마 요시히로) 순자산(Net Worth)
- 전반적 순자산은 **4백만 달러(약 52억 원)**로,
- 일부 분석에서는 10억 원 이상으로 더 높게 추정되기도 합니다
- CelebsMoney는 넷자산 범위를 $100,000 ~ $1M으로 넓게 제시하고 있으나, 다수의 출처는 4백만 달러 수준을 지지합니다 .
추성훈의 MMA 활동 수입
- UFC와 스트라이크포스 활동 수익
- UFC에서 약 $1M,
- 스트라이크포스에서 $300K 총합 약 $1.3M을 벌어들인 것으로 분석됨 .
- 스폰서 및 광고 수익
- 컵누들, BOSS, 철도회사, 의류 브랜드 등 다양한 광고 계약을 통해
- 약 $2M 가량의 추가 수입이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 연간 추정 수입
- 연례적 ‘급여’ 혹은 활동 보수(연봉)는
- 약 25만 달러(한화 약 3.3억 원) 선으로 추정되며 ,
- 활동량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큽니다.
✅ 6. MMA 선수가 되는 법
- 종합격투기 기본기 습득
- 레슬링, 주짓수, 무에타이, 복싱 등 다양한 파이팅 스타일 훈련.
- 아마추어 대회 참가
- 지역 아마추어 대회에서 경험을 쌓고, 기록과 평판을 확보.
- 소규모 프로모션 진출
- 국내외 인디 프로모션에서 쇼머니 수백 달러 지닌 경기 경험 추가 .
- 기량과 기록으로 메이저 진출
- 충분한 실전 기록·인기도 확보 후 UFC, ONE Championship 등 메이저 계약 노릴 수 있음.
🧠 7. MMA 선수 관리 전략
- 체력·영양관리
- 체중 감량은 경기 전 스트레스 요인이므로,
- 균형 잡힌 식단과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비율 맞추기.
- 피지컬 & 재활
- 웨이트, 유연성, 심폐 강화 훈련이 필수. 부상 후 물리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계획.
- 기술 & 전략 훈련
- 스파링·비디오 분석으로 전략적 접근 (상대 스타일 분석 등).
- 멘탈 관리
- 스트레스·긴장·집중력 위해 스포츠 심리 상담 또는 명상 활용.
- 스폰서십 & 대외 활동
- SNS 브랜딩과 매니지먼트로 광고·미디어 기회 확대.
- 법률·재정 준비
- 프리랜서 신분이므로 계약·세무·보험 등 전문가 상담 필수.
반응형
'직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거래위원회 취업 가이드|하는 일부터 연봉, 준비 전략까지 완벽 정리 (10) | 2025.07.01 |
---|---|
보험 설계사 수입과 업무 완전 정리|월 평균 수익, 보험사별 혜택 비교까지 (6) | 2025.06.30 |
한국철도공사 취업 완벽 가이드|직급·연봉·채용 절차 총정리 (4) | 2025.06.28 |
인천국제공항공사 취업 가이드|연봉·직무·채용 팁 완전 정리! (9) | 2025.06.27 |
골프장 캐디 월급·연봉 완전 분석|수입 구조부터 전문 캐디 되는 법까지!” (9) | 2025.06.27 |